니시노토인 도키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노토인 도키요시는 가와바타 스에토미의 양자로 가와바타 긴토라로 불렸으며, 아스카이 마사하루의 양자를 거쳐 니시노토인 도키마사의 양자가 되어 1575년에 니시노토인가의 가독을 상속받았다. 그는 고조주를 통해 고다이인과 친교를 맺었고, 로쿠조 아리히로와 함께 일본 최초의 활판 인쇄인 게이초 칙판에 참여했다. 또한 고요제이 천황의 칙허를 받아 히라노 신사를 재건했으며, 다테 마사무네가 개최한 향회에 초대되어 향응향회의 기록을 남겼다. 그의 일기인 『도키요시 기』는 궁중, 무가, 예능 등 폭넓은 교류를 보여주는 자료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니시노토인 도키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출생 | 덴분 21년 11월 5일 (1552년 11월 20일) |
사망 | 간에이 16년 12월 20일 (1640년 2월 11일) |
개명 | 가와바타 기미토라 → 니시노토우인 도키미치 → 도키요시 → 엔쿠 |
별칭 | 헤이사이쇼, 쇼안 |
관위 | 종2위, 참의 |
주군 | 오기마치 천황 → 고요제이 천황 → 고미즈노오 천황 |
씨족 | 니시노토우인가 |
부모 | 아버지: 가쿠초, 어머니: 불명, 양아버지: 가와바타 스에토미 → 아스카이 마사하루 → 니시노토우인 도키마사 |
형제 | 후지에 마사요시, 도키요시 |
배우자 | 정실: 구즈오카 겐추의 딸, 측실: 이에뇨보 |
자녀 | 니시노토우인 도키코, 니시노토우인 도키나오, 히라마쓰 도키쓰네, 젠추, 니치유, 하세 다다야스, 가타노 도키사다, 만, 주카몬인의 뇨보, 신조토몬인의 신주나곤노쓰보네, 이쿠코, 아네가코지 긴카게의 아내 |
2. 약력
니시노토인 도키요시는 여러 가문을 거쳐 니시노토인가를 상속받았다. 가와바타 스에토미의 양자가 되어 가와바타 긴토라로 불렸고, 이후 숙부 아스카이 마사하루와 니시노토인 도키마사의 양자를 거쳐 1575년(덴쇼 3년)에 니시노토인가의 가독을 이었다. 고조우즈를 통해 고다이인과 친분을 맺었다.
로쿠조 아리히로와 함께 일본 최초의 활판인쇄인 게이초 칙판 간행에 참여했으며, 고요제이 천황의 칙허를 얻어 히라노 신사를 재건했다. 1624년(간에이 원년) 출가하여 엔쿠(円空)라는 법명을 얻었다.
1626년(간에이 3년)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츠를 따라 상락한 다테 마사무네가 개최한 향회에 아들 히라마츠 도키쓰구와 함께 초대받았다. 이 향회 기록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 기록으로 남아있다. 그의 일기인 『시경기』는 궁중, 무가, 예능계와의 폭넓은 교류를 보여준다.
2. 1. 가문 계승 과정
가와바타 스에토미의 양자가 되어 가와바타 긴토라라고 칭했다. 그 후, 숙부인 아스카이 마사하루의 양자가 되었고, 이후 니시노토인 도키마사의 양자가 되어 덴쇼 3년 (1575년)에 니시노토인가의 가독을 상속했다. 고조우즈를 통해 고다이인과 친분이 있었다.2. 2. 문화적 업적
로쿠조 아리히로와 함께 일본 최초의 활판 인쇄인 게이초 칙판 간행에 참여했다. 게이초 연간에 고요제이 천황의 칙허를 받아 황폐해진 히라노 신사를 재건했다. 히라노 신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오사카성을 축조하면서 이전한 곳으로, 도키요시의 신사 재건은 도요토미 정권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간에이 원년 (1624년) 8월 24일에 출가하여 법명을 엔쿠(円空)라 칭했다.2. 3. 다테 마사무네와의 교류
간에이 3년 (1626년) 7월 24일,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츠를 따라 상락한 다테 마사무네가 개최한 향회에, 고노에 노부히로, 이치조 카네토오 형제 등과 함께, 아들 히라마츠 도키쓰구와 함께 초청되었다. 이 향회는 "향응향회의 기록"이 일본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 기록으로 남아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개인 소장).다테 마사무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도쿠가와 이에미츠를 따라 상락하는 등 도쿠가와 막부와의 관계를 중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시노토인 도키요시가 다테 마사무네의 향회에 초대받은 것은, 도쿠가와 막부와의 관계에서 니시노토인 도키요시가 조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2. 4. 출가와 만년
1624년(간에이 원년) 8월 24일 출가하여 법명을 엔쿠(円空)라 했다. 그의 일기 『도키요시 기(時慶記)』는 궁중, 무가, 예능계와의 폭넓은 교류를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이다.3. 계보
니시노토인 도키요시는 아스카이가 안고인 승정 카쿠초(覚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미상이다. 정실은 쿠즈오카 켄나카(葛岡玄仲)의 딸이고, 측실은 이에뇨보이다. 고요제이 천황의 후궁이 된 니시노토우인 토키코 외에, 니시노토우인 토키나오, 히라마츠 토키츠네 등을 자녀로 두었다.
3. 1. 부모
아버지는 아스카이가 안고인 승정 카쿠초(覚澄)이다. 어머니는 미상이다.3. 2. 배우자
정실은 쿠즈오카 켄나카(葛岡玄仲)의 딸이다. 측실은 이에뇨보이다.葛岡玄仲|가쓰라오카 겐추일본어는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갈강현중으로 발음한다.
3. 3. 자녀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니시노토우인 토키나오 | 1584년 - 1636년 | 장남, 측실 이에뇨보 소생 |
히라마츠 토키츠네 | 1599년 - 1654년 | 차남, 히라마츠가 선조, 측실 이에뇨보 소생 |
젠츄(善忠) | ? - ? | 도후쿠지 센에켄(善恵軒), 생모 불명 |
닛유(日勇) | ? - ? | 묘덴지, 생모 불명 |
나가타니 타다야스 | 1612년 - 1669년 | 5남, 나가타니가 선조, 생모 불명 |
카타노 토키사다 | 1614년 - 1681년 | 6남, 카타노가 선조, 생모 불명 |
니시노토우인 토키코 | ? - 1661년 | 고요제이 천황 후궁(카데노코지노츠보네), 정실 쿠즈오카 켄나카의 딸 |
만(万) | ? - ? | 난부 토시나오 양녀, 생모 불명 |
츄카몬인 뇨보 | ? - ? | 생모 불명 |
신죠토몬인 신츄나곤노츠보네 | ? - ? | 생모 불명 |
니시노토우인 이쿠코(行子) | ? - 1678년 | 도후쿠몬인 죠로(센지노츠보네), 이와이가 창설, 생모 불명 |
아네가코지 킨카게 처 | ? - ? | 생모 불명 |
니시노토인 도키요시는 딸 니시노토우인 토키코를 고요제이 천황의 후궁으로 들여보냈다. 이는 당시 귀족 가문이 권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3. 3. 1. 아들
善忠|젠츄일본어는 도후쿠지에 들어갔고, 善恵軒|센에켄일본어이라 하였다. 日勇|닛유일본어는 묘덴지에 들어갔다. 5남 나가타니 타다야스(1612년 ~ 1669년)는 나가타니가의 선조이다. 6남 카타노 토키사다(1614년 ~ 1681년)는 카타노가의 선조이다.3. 3. 2. 딸
- 니시노토우인 토키코 (? - 1661년) - 고요제이 천황의 후궁. 카데노코지노츠보네(勘解由小路局)라고 불렸다.
- 만(万) - 난부 토시나오의 양녀
- 츄카몬인의 뇨보
- 신죠토몬인의 신츄나곤노츠보네(新中納言局)
- 니시노토우인 이쿠코(行子, 이와이노츠보네(石井局), ? - 1678년) - 도후쿠몬인의 죠로. 센지노츠보네 (宣旨局)라고 불렸으며, 이와이가를 창설했다.
- 아네가코지 킨카게의 아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